안녕하세요. Dr. Bae입니다. 오늘은 성인에게서 흔히 생기는 증상 중 하나인 기침의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에 1편에서 만성 기침의 원인 중 천식까지 다루었습니다. 2편에서 이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4. 만성기침의 원인
(2) 역류질환(Reflux disorders)
만성 기침의 원인으로서의 역류 질환으로 위식도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order, GERD)과 인후두 역류질환(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LPR)이 있습니다.
위식도 역류(gastroesophageal reflux)는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현상으로 정의되며, 임상증상과 식도의 변화 등을 동반한 경우를 GERD로 정의됩니다. GERD은 만성 기침의 주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GERD가 만성 기침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보고합니다. 만성 기침을 가진 환자들은 많은 수에서 GERD와 일반적으로 연관된 증상(예: 발음 장애, 코 증상, 속 쓰림 또는 입에서 쓴 맛)을 경험합니다. 인후두 역류질환(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LPR)은 인후두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로, GERD에서 흔한 증상과는 달리 대개 인후통, 헛기침, 애성, 인후두
이물감 등의 증상을 보이며, 기립시에도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점에서 GERD와 구분됩니다.
아래는 제가 참고한 연구와 논문입니다.
(3) 상기도 기침 증후군(Upper airway cough syndrome, UACS)
상기도 기침 증후군(UACS)은 알레르기성, 통년성 비알레르기성(perennial nonallergic), 혈관운동성 비염이나 부비동염으로 인해 코 점액이 비인강으로 흐르는 증상과 연관되어 발생합니다. UACS가 만성 기침의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상기도에 코 점액이 존재하면 후두 점막 내 기침 수용체 자극에 의해 기침은 유발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래는 제가 참고한 연구와 논문입니다.
(4) 비천식성 호산구기관지염(Nonasthmatic eosinophilic bronchitis)
비천식성 호산구기관지염(Nonasthmatic eosinophilic bronchitis, NAEB)은 만성 비생산성 기침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 중에 만성 기침의 일반적인 원인에 대한 위험 요인이 없는 환자들에게서 중요합니다. NAEB를 가진 환자들은 아토피성 경향을 보입니다. 환자들은 가래에 호산구의 증가와 기도 내 염증의 활성을 나타내지만, 기도 과민반응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아래는 제가 참고한 연구와 논문입니다.
(5) 약제 유발성 기침(ACE inhibitors and other medications)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con- verting enzyme, ACE) 억제제 - 기침은 고혈압 치료약제로 사용되는 ACE 억제제 약물 사용 시 일반적인 부작용입니다. ACE 억제제가 기침 반사의 민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부작용은 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흔합니다. 이러한 약물을 중단하는 것은 진단 및 치료 시행입니다. 중단 시, 기침은 일반적으로 며칠 내에 해결됩니다.
칼슘 채널 차단제 (Calcium Channel Blockers, CCB) 및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 CCB는 고혈압 치료약제이고,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다공증의 1차 치료약제입니다. CCB와 비스포스포네이트와 같이 위식도 역류를 증가시키는 약물은 기존 위식도 역류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기침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녹내장 치료제 -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인 라타노프로스트(latanoprost)에서 기침 민감도가 증가된 사례가 있습니다. 라타노프로스트는 기침 수용체에 민감성을 유발합니다. 티몰롤(timolol)은 비선택적 베타 차단제(nonselective beta-blocker)로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 수축 및 기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제가 참고한 연구와 논문입니다.
(6) 지속하는 감염 후 기침(Prolonged post-infectious cough)
아급성 기침의 원인기도 한 감염 후 기침은 만성 기침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감염 후 기침은 급성 감염 후 8주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Mycoplasma pneumoniae, Chlamydia pneumoniae, B. pertussis 및 SARS-CoV-2 (COVID-19의 원인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 시 빈도가 증가합니다.
아래는 제가 참고한 연구와 논문입니다.
(7) 이 외
이 외 만성 기침의 원인으로는, 폐의 다양한 질환으로는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간질성 폐질환 등이 있으며, 또한 흡인, 만성 심부전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Health Informaion > ⛧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의 정의, 중요성, 유병률, 관리현황 [2편] (0) | 2023.04.02 |
---|---|
고혈압의 정의, 중요성, 유병률, 관리현황 [1편] (0) | 2023.03.31 |
알레르기비염의 정의, 원인, 기전, 분류 (0) | 2023.03.30 |
성인에게서 두통의 원인 (0) | 2023.03.29 |
성인에게서 기침의 원인(급성, 아급성, 만성)[1편] (1)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