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r. Bae입니다. 오늘은 고혈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편과 2편으로 나누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 고혈압의 정의, 중요성
1. 고혈압의 정의와 혈압의 분류
현재까지의 임상시험 근거에 따르면, 수축기혈압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90 mmHg 이상을 고혈압으로 구분합니다. 또한,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이 모두 120 mmHg와 80 mmHg 미만일 때는 '정상혈압'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임상적으로 심뇌혈관 위험도가 가장 낮은 최적혈압으로서, 고혈압 위험성을 평가할 때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만약 수축기혈압이 120~129 mmHg이고 이완기혈압이 80 mmHg 미만일 때는 '주의혈압'으로 분류됩니다. '고혈압 전단계'는 수축기혈압이 130~139 mmHg이거나 이완기혈압이 80~89 mmHg인 경우로 정의되며, 이완기혈압이 90 mmHg 미만이면서 수축기혈압만 140 mmHg 이상으로 상승된 혈압은 수축기단독고혈압이라 합니다. 고혈압은 혈압의 높이에 따라 1기 고혈압과 2기 고혈압으로 분류합니다.
2. 고혈압의 중요성
고혈압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및 사망 위험을 크게 높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 다수의 관찰 연구 데이터에서도 고혈압이 관상동맥질환 및 뇌혈관질환의 위험도를 크게 높이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고혈압 전단계인 사람들도 정상혈압을 가진 사람들에 비해 생활습관이 좋지 않은 경향이 있으며, 고혈압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고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위험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아시아 국가들과 호주, 뉴질랜드 등 16개 지역의 데이터를 통합 분석한 연구에서도 고혈압이 뇌졸중과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혈압이 관상동맥질환과 뇌혈관질환 모두의 기여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수축기혈압이 20 mmHg 높아지면, 남성에서는 허혈성뇌졸중, 뇌내출혈, 지주막하출혈의 위험도가 각각 1.79배, 2.48배, 1.65배 높아지며 여성에서는 1.64배, 3.15배, 2.29배 높아진다는 것도 확인되었습니다. 최근 국내에서 실시한 국가건강검진 및 건강보험청구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수축기혈압 및 이완기혈압이 증가할수록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수축기 단독 고혈압 및 이완기 단독 고혈압도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높일 수 있음이 관찰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혈압은 한국인에서 심뇌혈관질환 발생의 가장 큰 위험 요소 중 하나이며, 적극적인 혈압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국내 자료를 통해 입증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고혈압의 유병률과 혈압의 분포
1. 고혈압의 유병률
우리나라 성인들의 고혈압 발생률은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결과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제1기(1998)부터 제3기(2005)까지는 34년 주기로 실시하였지만, 제4기(2007~2009)부터는 매년 조사를 실시하며, 3개년 동안의 조사 데이터를 합쳐 전국을 대표할 수 있는 확률표본으로 진행됩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검진 당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 혹은 고혈압약을 복용 중인 경우를 고혈압으로 정의합니다.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로 추정한 고혈압 발생률은 30세 이상 성인에서 33%, 20세 이상에서는 29%입니다. 또한, 2005년 인구구조를 기준으로 연령표준화한 고혈압 발생률은 30세 이상에서 28%, 20세 이상에서는 24%였습니다.
2. 연령과 성별에 따른 혈압의 차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혈압이 상승하고, 남녀 간 혈압 차이가 줄어듭니다. 60세 이상이면 남녀 모두 고혈압의 유병률이 50% 이상입니다. 전체 성인 인구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고혈압 유병률이 약 5~10% 더 높지만, 여성은 폐경기 이후인 50대부터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기 시작하여 70세 이후에는 남성보다 여성의 고혈압 유병률이 높아집니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고령일수록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많기 때문에 고령의 고혈압 환자는 여성이 더 많아집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혈압 인구는 남성이 178만 명, 여성이 270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축기혈압은 계속 상승하지만, 이완기혈압은 60대 이후 감소하여 수축기 혈압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지만, 이완기 혈압은 60대 이후 감소하여, 노인 인구에서는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인 맥압이 증가하고 수축기 단독 고혈압이 빈번히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유병률의 변동 추이, 소금 섭취량과 고혈압의 관계, 대사증후군과 고혈압 등은 2편에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Health Informaion > ⛧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의 정의, 중요성, 유병률, 관리현황 [2편] (0) | 2023.04.02 |
---|---|
알레르기비염의 정의, 원인, 기전, 분류 (0) | 2023.03.30 |
성인에게서 두통의 원인 (0) | 2023.03.29 |
성인에게서 기침의 원인(급성, 아급성, 만성)[2편] (0) | 2023.03.28 |
성인에게서 기침의 원인(급성, 아급성, 만성)[1편] (0) | 2023.03.27 |
댓글